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가 되기위한 노하우?
좋은글이여서 공유해보고자합니다.
같이 알아볼까요?
-01-
<오랜 시간동안 지치지 않고 공부할 주제를 선택한다.>
오랜 시간은 적어도 몇년이고 어떤 경우엔 평생이 되기도 합니다.
몇달이나 몇년 공부하고 그 주제에 대해 전문가가 될 수 있다면
다른 사람도 그렇다는 말이다.
-02-
<전문가가 되는 것과 자격증을 따는 것은 다른 것이라는걸 깨닫는다.>
부동산 거래 자격증이 있다고 부동산 전문가인 것은 아니다.
자격증이 필요하다면 굳이 전문가가 되려고 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자격증은 어떤 것을 학습했다는 것에 대한 증명일 뿐이다.
-03-
<많은 전문가들이 그것으로 수익을 창출하지는 않는다.>
전문가로 불리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그것으로 돈을 벌수는 있지만
그 이전에는 늘 배가 고프기 마련이다.
-04-
<전문가의 영역은 완벽한 유일성이 아니라 중첩되고 수렴된다.>
전문가의 영역은 다른 전문가들의 영역과 상당 부분 중첩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을 늘 자신의 영역으로 '수렴'시킬 수 있어야 한다.
-05-
<새로운 관점과 논점 그리고 이론을 생성한다.>
하나의 사실을 재해석하고 시간과 존재에 따라 논점을 제시하고
그 과정의 결론에 이를 수 있는 이론을 구축해야 한다.
이론의 구축은 자기 성찰의 결과물이며 통합적 사고의
제시를 의미한다.
-06-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랜 시간동안 하나의 주제 혹은 몇 개의 주제에 집중하는 것은 힘들기보다는
두려운 일이 될 가능성이 크다.
만약 그것이 잘못된 길이라면?
그것 대신 다른 것에 집중한다면?
이런 질문이 주는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계속 그 길을 갈 수 없다.
-07-
<생각하고 대화하고 쓰고 실천한다.>
생각할 수 있지만 대화할 수 없고,
대화할 수 있지만 쓰지 못하고,
쓸 수 있지만 실천하지 못한다면
프로가 될 수 없다.
-08-
<변화의 가능성을 이해한다.>
10년 간 하나의 주제에 몰두했으나 그것이 완벽히 잘못된
주제의 선택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시간은 헛된 시간이 아니다.
변화의 가능성은 늘 존재한다.
-09-
<시작의 시점은 중요하지 않다.>
10살 떄부터 시작을 하든 50살 때부터 시작하든 그것은 큰 관계가 없다.
50살 떄 시작한 사람은 시작은 늦었지만
그동안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매우 빠르게 수렴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인정받는 것보다 인정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라.>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목적이라면 인정할 수 있는
주제를 찾는 데 집중하라.
삶의 끝에는 후회가 없을 것이다.
--------------------------
오늘은 전문가(프로)가 어떤 의미이고
얼마나 하나에 대한 집착이 가지는 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는 이글을 읽고 제법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 드려요^^
---------------------------
아래 유튜브채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잘되는 집안, 안되는 집안 특징 알아보기!-BY.알짜요- (0) | 2018.05.12 |
---|---|
미래의 내가 나에게하는 조언 10가지!-BY.알짜요- (0) | 2018.05.11 |
상대방이 나를 좋아하는지 알 수있는 방법 9가지!-by.알짜요- (0) | 2018.05.10 |
매일 아침을 바꿀수있다면??11가지 소소한 행동-by.알짜요- (0) | 201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