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뉴스알짜요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리불순 원인과 생리불순 증상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여성의 생리불순이 불임과 암의 원인이 될 수 도 있다고 하는데요?

 

생리주기가 일정하지 않고, 양이 불규칙한 경우를 생리불순이라고 하는데요?

 

 

여성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생리불순 증상, 기간에 따른 구분법

 

생리불순은 기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생리주기가 24일 이내로 되풀이 되는 경우를 빈발월경,

 

생리주기가 35일~40일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길어지는 경우를 희발 월경,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무월경으로 구분한답니다.

 

 

정상적인 월경주기는 생리 시작일부터 다음 시작일까지 대략 28~31일을 주기로

 

한달에 한번, 기간은 4일~7일 정도입니다.

 

생리불순의 원인으로는 여성호르몬의 불균형, 과도한 스트레스나 질병,

 

급격한 다이어트나 체중증가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갑상선기능의 이상,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의 이상, 난소기능부전,

 

잦은 인공유산수술로 인한 자궁내막의 손상도 

 

생리불순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데요?

 

일시적인 생리불순은 정상화 될 수 있어서 스트레스의 해소, 

 

정상체중으로의 복귀,

 

 

심리적인 안정으로 정상화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생리불순은 위험한데요?

 

 

무월경, 희발월경이 계속 지속될 경우,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지속적인 생리불순이 위험한 이유는 자궁 내막이 

 

에스트로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궁내막 증식이나 자궁내막암의 발생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때는 저용량 호르몬 치료제(피임약)을 통해 

 

주기적인 자궁내막의 탈락,생리를 유도해

 

 

자궁내막을 보호해야 한다고 합니다.

 

먹는 피임약은 안전이 입증되었을까?

 

미혼 여성의 경우 피임약 복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세계보건기구(WHO)는 피임약이 불임이나 

 

태아기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했고,

 

장기간 복용한 경우에도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정상적으로 배란, 

 

임신 능력을 되찾게 되므로,

 

안심하고 복용해도 된다고 발표했다고 합니다.

 

 

먹는 피임약의 다양한 효과는 무엇이 있을까요?

 

피임 뿐 아니라 희발월경, 부정자궁 출혈, 자궁내막증, 

 

생리전증후군, 호르몬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여드름 치료에도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부인과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처방된다고 합니다.

 

지속적인 생리불순은 불임과 암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월경이 불규칙 하다는 것은

 

 

배란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답니다.

 

 

생리불순이 있다면 정확한 진단과 그에 맞는 치료가 필요한 이유이며,

 

이밖에도 생리의 색깔과 양의 변화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이상한 덩어리가 섞여나오는 경우

 

생리통이 갑자기 생긴 경우에도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생리기간에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고, 

 

맵고 짠 음식, 술이나 커피, 담배도 피하는 것이 좋답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매달 겪어야하는 생리때 저 많은걸 다 조심하긴 힘들겠죠?

 

제 생각엔 뭐든 적당히가 좋은것 같아요. 

-----------------------------------------

 

 

 

 

TAG:생리,생리통,생리불순,생리통심할때,생리통완화법,생리통한약,생리통치료,부정출혈,생리통약,생리전증후군,생리통이심할때,생리통에좋은것,생리주기가불규칙,호르몬검사,생리양감소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